목록분류 전체보기 (102)
Automotive Softwar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CUCD/btsFaOkBTFl/A9ycEU4Wtjhk921yq7za01/img.png)
원격지상의 서비스 호출 또는 이벤트 정보 수신을 위해 고안된 SOME/IP 프로토콜은 유니캐스트 어드레싱(Unicast Addressing)을 통해 효율적인 네트워크 대역관리가 지원되는 이더넷 환경에서 구현되지만, 데이터 송신 시 스위치가 유니캐스트를 통해 전달될 경로(송신자와 수신자의 연결 경로)를 알지 못한다면 이는 통신 데이터의 손실 및 추가 부하를 야기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12년 오토사 버전 4.1 이후에서는 SOME/IP 기반에서 필요/제공 서비스를 탐색할 수 있는 프로토콜 (Service Discovery)을 지원하고 있는데 이는 크게, 서비스 탐색 : 서비스 인스턴스별 주소와 포트넘버를 정의하여 서비스의 존재여부 공시 서비스 발행/구독 : 서비스 상세 내역 발행 및 구독 관리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1EZE/btsEdYpru6P/whakWd2emhl2depVtUPY40/img.png)
개관 클래식 오토사에서는 진단 프로토콜을 통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가 지원되었지만, 이는 서비스 센터나 공장 라인과 같은 정적인 환경에서 진단기를 통해서만 가능하였다. 아답티브 오토사에서는 OTA (Over the Air)와 같은 동적인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추가 지원하기 위해 업데이트 및 형상 관리자 (UCM)를 정의하고 관련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업데이트를 위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ara::com을 통해 메서드와 필드 형태로 제공되므로 이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의 위치(동일 머신 또는 원격지)에 대한 제한은 없다. 시스템 구성은 UCM Subordinate (UCMS) : 아답티브 머신상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및 실제 업데이트 수행 UCM Clie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Wxa5/btsEwHUPgcL/8xMQ07tuVeXWSBcyEl959K/img.png)
Scalable service-Oriented MiddlewarE over IP (SOME/IP)의 약자로 차량 또는 임베디드 환경에서 원격 절차 호출(RPC), 송수신 데이터의 직렬화(Serialization) 그리고 서비스 탐색(Service Discovery)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2011년 BMW 그룹에 의해 정의된 프로토콜로써 이더넷 및 오토사(4.1 이후) 환경에서 서비스 중심 아키텍처(SOA :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이벤트 또는 원격 절차 호출)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차량의 지능화에 따라 이더넷과 같은 네트워크상의 통신 부화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이 프로코토콜은, 브로트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는 차량내 정보들을 추가적인 Ser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pUv9/btsEtlLZnf7/N8i4hPHOcoZgdimjEW7mm0/img.png)
아답티브에서 DLT 설정은 M2::AUTOSARTemplates::아래에 하기 매니페스트의 요소 (Manifest Elements) 들을 묘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LogAndTraceExtract DltEcu LT 정보를 생산하는 ECU나 머신 application::DltApplication : LT 데이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ecuId::String : DLT 프로토콜 내에서 사용되는 ECU 명 DltApplication applicationDescription::String : DLT 메시지상에서 applicationId를 설명 applicationId::String : DLT 메시지상에서 SWC/BSW 모듈 구분을 위한 ID context::DltContext : 애플리케이션 Context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kjeE/btsBy8IeQFM/Icc7NKnrYcff2rrPHHp9Z1/img.png)
아답티브 오토사에서는 OTA (Over the Air)를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신규 설치, 갱신, 삭제)를 지원하기 위해 UCM (Update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FC를 정의하고 있으며, UCMS (UCM Subordinate)에 전달될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형식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실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형식은 차량 제조사의 내부 스펙에 따라 서명 방식 및 세부 형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아답티브 오토사에서는 왼쪽 그림에서와 같이 기본적인 형식을 제안하고 있는데, 애플리케이션(들) : 실제 업데이트 대상 실행 파일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들) : 애플리케이션에서 참조할 데이터 파일 애플리케이션 매니페스트(들) :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설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t7iN/btsBjEH3OBR/Ls19Mn2gH8hIofEQRVYGSK/img.png)
아답티브 오토사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호출 후 결과 확인 시 해당 동작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고 처리하는 방식을 C++에서 정의된 방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답티브 오토사에서의 비정상 동작 결과 타입 에러 (Error) 런타임에서 발생 가능 / 회복 가능 허용되지 않은/예상되지 못한 입력값에 의해 특정 기능의 불능상태가 초래된 경우 위반 (Violation) 프레임워크 개발 단계에서 발생 가능 / 회복 불가능 프레임워크상에서 지원하지 않는 전/후 동작 조건에 따라 구동 요청이 된 경우 예, 제한된 하드웨어의 초과 사용시도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미지원 설정 기능 사용 손상 (Corruption) 프레임워크 개발 단계에서 발생 가능 / 회복 불가능 시스템 자원의 손상으로 초래되는 결과 예, 하드웨어..